이글은 만랩찍고 세팅을 어떻게 해야하는가 에 대한 고민점이 있는 뉴비들을 위해 작성됨. 다만 내가 귀찮으니 적당히 쓸것.
더 상세한건 알려준걸 맞춘후 본인이 직접 맞춰보도록 하자 그쯤되면 이미 알건 다 암
어지간히 모르겠으면 대충 지들이 원탑이라고 외치는 고인물들 아니면 딱봐도 저건 고였다 싶은 고인물들에게 물어보자
직업이 같을경우 장비세팅은 물론 다른측면에서도 굉장히 좋은 조언을 받을수도있다.
알려줄지는 나도 몰랑 사람마음이니까 옜날에 갑인거마냥 행패부리던,아무런 노력도 안했는데 최종컨덴츠를 바라는
과거 이상한 진상뉴비때문에 시달려서 안좋게 보는사람도 몇 있으니 싫다하면 그냥 그러려니하고 다른 고인물을 찾아가자.
젬= 8파괴 1명중
루미스톤 = 물리 = 물공 / 마법 = 마공 / 레인저 = 덱스 / 룬블 = 힘
기본옵션들 설명
신던을 제외한 그 하위던전은 물리딜러 명중 115 마법딜러 명중 118정도가 안정선
신던전인 환영의던전들은 과거 보스에서 피통,데미지만 올리고 명중수치는 그대로라 돌때 명중 젬스톤을 파괴의 젬스톤으로 바꾸고 딜을 극대화하는걸 권장함.
길드 개인스킬로 만랩기준 5를 땡길수있다.
첫번째 필수옵션 방관은 30%가 상위던전의 기본이고 서포터도 반드시 필수적으로 맞추며 딜러는 안맞출시 인권취급 못받음.
바로 겜알못 취급받고 팟 강탈당하니 무조건 1순위로 맞추자. 타 스탯에비하여 굉장한 진짜 굉장한 고효율을 자랑한다.
실제로 본인은 상위던전에서 방관세팅을 안한유저는 차단하고 같이 플레이 안한다. 보통 세팅에대한 이해가 없으면 해당 캐릭터에 대한 이해도 부족하고
이는 캐릭터를 재대로 활용하지 못하여 극심한 딜로스가 발생하기때문. 물론 특정 상황에 의해서 30% 값은 안나올수도 있다.
맞추는 중이라던지. 하지만 최대한 맞추도록 노력을하자. 그리고 집에 빛의 후예 버프를 통하여 4%를 추가로 챙길수있다.
보통 이 세팅의 변동에따라 차이가나도 세팅을 맞춘사람은 아무리 바꿔도 20%밑은 내려가지 않는다. 그것도 순간적인거고 곧 다시 30% 맞춰온다.
그렇게 할정도로 정말 중요한옵션. 현 메콩 세팅의 근본중의 근본이자 상위권 던전 입구컷을 볼때 가장 우선적으로 보는 세팅중 하나다.
물리,마법 저항관통은 15%근산대로 맞추면되며 맞추기가 굉장히 쉬운 옵션이다. 무기,장갑그리고 특성효과로 3%를 받으면 이미 끝.
두번째 필수옵션 보공뎀은 40% 정도로 맞출때 가장 효율이 좋고 제한없이 무한히 적용된다. 40 근산하게 맞추는걸 목표로. 초과해도 상관은없다.
크리티컬 데미지는 250%가 최대. 룬블 버프를 고려하여 220~230 선으로 맞추는게 최종적인목표
현재 비상한 집중물약 도핑으로인해 굉장히 고 효율을 받는 옵션이나 본인이 비상물약이 부족할시 세팅 투자대비 효율이 생각만큼은 안나올수도있다.
페이카 라펜샤드로 420이라는 굉장한 양을 챙길수 있었지만 현제 보상수치를 공유하는 바야르 던전,오메가 던전의 강제화로 이를 파밍하기 어렵다.
크리티컬 명중은 크리티컬 데미지 최소200% 이상을 맞춘후에 찾아보도록 하자.
총데미지는 무기,펫 정도에서만 챙길수있는 귀한옵션이다. 최종 합연산에 들어가는 계산식을 채용하여 투자대비 비교적 정확한 효과를 발휘한다.
근거리,원거리 데미지 는 현제 핵심 딜링스킬인 기간티카 라펜샤드에 적용이 안되기 때문에 소외받는 옵션들이다.
아이템을 맞출때 정말 답이없을 정도로 안나와서 지쳤을때 나오면 그때나 사용해주도록하자. 낄게 이거밖에 없을때 울며겨자먹기로 끼는 옵션들이다.
속성데미지는 특정 직업에한정하여 사용이 가능한 정도이다. 프리스트 신성데미지 라던가 화자드 화염데미지.
다만 마찬가지로 기간티카에 적용이 안된다. 기간속성? 그없 원,근뎀이랑 같은 취급이다.
장갑 = 물리,마법 저항관통 - 다른거없다.
무기 = 저항관통,총데미지,방어관통 가장 무난한 기본세팅 그 외에 실력이 부족하여 못뽑는다. 급한대로 껴야하거나. 현재 세팅의 차이, 직업에 따른 차이 정도로 갈림
위 세 옵션 다음으로 선호되는 옵션은 보공뎀,크리티컬데미지,크리티컬 명중 정도가 있고
프리스트,위자드등의 속성 딜러들에 한정하여 신성데미지,화염데미지 등의 옵션을 챙긴다.
어차피 무기는 옵션변경으로 돌릴수 있으니 대충 괜찮은거 강화해서 끼다가 그거 걔속 돌려먹으면된다.
다만 저항관통은 다른옵션에서 땡기지 않을경우 굉장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가장 쉽게 챙길수 있는 무기에 반드시 넣고 세팅을 하도록하자.
방어구 초월
아레 장신구까지 세팅을 완료 한 후 부족한 옵션을 땡겨오는걸 주력한다. 다만 이 초월은 본인의 실력이 굉장히 중요하고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일단은 자신에게 필요한 기본적인 옵션만 뽑고 그 다음 다른걸 다 맞춘후 맞추는걸 권장함.
이 재료인 초월수정은 길드상점에서 사거나 비싸게 사거나 고고학자에게 돌려서 나오는 열쇠로 폐광들을 가서 획득이 가능함.
파랑수정이 무난하게 얻을수 있고 보라수정 부터는 얻기가 좀 힘들되 기본적인 수치와 최종수치가 올라가서 더욱 높은 스펙을 원하면 보라색 수정을 사용하면 된다.
물론 가장 중요한건 돌리는 사람의 실력이다.
장신구들.
방관 30이 안나올시 방관을 우선시하여 세팅
크리티컬데미지,보공뎀 을 우선으로 챙기되 본인의 취향여하에따라 공격속도를 챙긴다.
이때 스탭시프,화염위자드,소울바인더같이 선후딜이 긴 캐릭터는 이 효과가 잘 나며 일반적으로 110%대 이상부터 효과가 체감이된다.
과도하게 맞추지는 말고 맞추더라도 공격속도의 최고효율인 150%를 기준으로 맞추며
이는 프리스트의 버프스킬인 홀리심볼의 19% 수치에 맞춰 130%대에 근산하도록 맞추는게 효율이 좋다.
최근 파이어 프리즘 무기의 공격속도 9%(환영던전x2)옵션에의해 장신구에 과도한 공격속도는 권장하지 않는다.
참고로 3소켓은 필수이며 이에 장착되는 젬스톤은 기본중의 기본이다. 반드시 3소켓에 10단젬들을 전부 박도록 노력하자.
내 생각에는 이 부분이 진입장벽이 좀 큰거같음. 3솟뚫기 어렵
펫은.
인페르녹,자쿰의손 펫을 추천하고 이중 더 추천하는건 인페르녹이다. 카오스자쿰 돌기가 더 귀찮아서;;
기본적인 스펙은 둘 다 동일하고 당연히 엑설런트 등급으로 필히 맞추도록함. 없을땐 급한대로 엘리트 쓰도록하자.
이후 엑설런트를 맞출때는 옵션을 잘 선택해야하며 가장 선호받는 3옵션은 총데미지,방어력관통,크리티컬데미지다.
이후에는 본인의 세팅 여하에따라 위에 나열했던 괜찮은 옵션들중에 고르면된다.
또한 펫 전투력 옵션은 캐릭터의 전투력또한 그대로 올려줌으로서
펫의 래벨을 올리는건 상당히 중요하다. 이에 하루 펫에게 추가로 경험치를 줄수있는 24회를 꼬박꼬박 먹이는걸추천.
그 이상은 메소 문제로인해 안하는걸 추천하는데 돈이 남아돌면 막 올려도됨.
수치 변경권은 현제 주황버섯 스펙업으로만 획득가능하니 다른거를 먼저 맞춘 후에 마지막으로 맞추도록하자. 메럿은 비싸당
또 엑설펫 래벨을 다찍고 50마리를 박으면 레전을 만들수 있는데 이때 기존옵션에 더해서 추가옵션이 랜덤으로 붙고 래벨이 1로 초기화되어 다시 올려줘**다.
마지막으로 루미스톤 여담.
3단으로도 충분히 엔드컨덴츠까지 즐길수있다. 다만 이 루미스톤의 차이는 3 - 4 - 5 단계별로 각각 강화 한단계 수준 정도를 차이나게 해주는데
이는 이번에 파이어 프리즘 장비가 풀림으로서 상당부분 완화될것. 그리고 4단부터는 맞추기가 굉장히 어렵고
그에 필요한 생활 컨덴츠는 하는사람을 정신과 진료를 받을수 있게 만들어줄 정도로 끔찍하기 때문에 하지 않는걸 권장하지만.
스펙에 눈이 돌아가는 사람이라면 해야된다.
돈으로도 굉장한 량의 금액을 부어야 가능하기 때문에 본인의 경제 여건에 따라 안전한 소비를 하는걸 권장함.
어디까지나 스펙업은 개인의 만족이기 때문에 본인의 취향에따라 맞춰나가는 속도를 정하면되고.
메콩은 하드하게 할거면 부캐로 얻는 재화수급을 필수적으로 요함.
기본적인 세팅도 모르고 방향성도 모르는 뉴비들을 위해 썻으니 보고 적당히 맞추다보면 자연스래 나머지도 알게될거라믿어요~ 아니 믿음 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