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주제는 궁수, 도적 직업군의 딜 사이클입니다.
먼저 궁수 직업인 레인저는 화살을 사용해 원거리 딜링을 하는 원거리 딜러입니다.
기본적인 사이클은 SP수급 → 래피드 샷입니다. 스나이프의 효과를 받기 위해서 5m 이상 떨어진 거리에서 사용하죠.
강력한 한 방을 날리는 스크류 드라이브 샷은 SP를 소모하지 않으므로 쿨타임이 찰 때마다 사용해주시면 좋구요.
(보통은 기본 사이클이 끊기지 않게 하기 위해 SP를 전부 사용한 뒤나 래피드 샷을 사용하기 전에 사용합니다.)
크리티컬이 뜨면 나타나는 골든 이글은 지속 시간 동안은 DEX 추가 효과를 위해 놔두시다가
지속 시간이 끝나갈 때 쯤 이글 스트라이크로 날려주면 됩니다.
레인저의 딜량 상승에 큰 도움이 되는 독수리의 혼은 쿨타임이 찰 때마다 사용해 주시면 매우 좋습니다.
보스에게 접근해**다면, 아이스 샷과 **우 스톰으로 딜을 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크기가 큰 보스에 한해서 스나이프의 5m 거리 효과를 받고 쓸 수도 있지만
익숙하지 않다면 그냥 접근할 수 있을 때 사용하셔도 충분합니다.
만화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자신과 아군의 크리티컬 명중과 크리티컬 대미지를 올려주는 샤프 아이즈를
던전 입장 전에 사용해주시면 좋습니다.
다음은 헤비거너입니다.
헤비거너 딜 사이클의 시작은 단순히 스킬 하나를 지속적으로 쓰는 것이 아니라
락 온 → 새틀라이트 → 로켓 런처 → 마그네틱 봄 → 호밍 미사일 → 그레네이드 → 일렉트릭 블라스트
위와 같이 거의 모든 스킬을 퍼부어주시듯 시작하면 SP를 정확히 100을 사용하게 됩니다.
이후 재장전이나 수급기로 SP를 채운 뒤에, 일렉트릭 블라스트를 주 딜링기로 사용하며
다른 스킬의 쿨타임이 찰 때마다 눌러서 사용해주는 식이 됩니다.
SP 소모량이 큰 스킬이 주 딜링기이기 때문에, SP를 정확히 100까지 채운 뒤에 스킬을 쓰는 것이 도움이 되겠죠.
스킬 사용에 있어서 주의할 점이라면
로켓 런처와 마그네틱 봄은 장판을 까는 스킬이기에, 적이 제자리에 머물고 있을 때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 부비 트랩은 높은 대미지를 주지만 지뢰를 까는 형식이기 때문에
가까이 근접해서 사용하거나 보스의 이동 경로를 예측하고 사용하는 식으로 활용하게 되는데요.
꼭 필수로 맞추려고 하기 보다는, 사용하기 좋은 타이밍에 근접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레네이드 또한 근접해서 사용해야 하기에
꼭 쓰기보다는 SP가 애매하게 남거나 근접하기 좋을 때 다른 스킬과 연계하여 사용하곤 합니다.
락 온은 헤비거너에게 중요한 명중과 방어력 관통 수치를 상승시켜주는 스킬이기에 쿨타임마다 써주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호밍 미사일 스킬이 전부 락 온이 적용된 상대에게 날아가기에 호밍 미사일을 다른 곳에 써야하는 던전의 경우엔
사용이 제한되기도 하니 (카오스 데보라크의 힐쫄 처리 등) 던전 공략을 잘 읽어보고 사용해야 합니다.
새틀라이트는 SP를 소모하지 않고 자동으로 추가 대미지를 주는 스킬이기에 역시 쿨타임마다 사용하는 것이 좋구요.
(락 온이 사용 가능할 경우 락 온을 먼저 사용한 뒤 새틀라이트를 사용하면 추가 대미지가 더 들어가니 유의)
특히 헤비거너의 패시브인 버닝 캐논의 활용도 중요한데요.
주요 효과인 과부하를 발동하기 위해서 던전 시작 전에 수급기 등으로 미리 4~5스택 정도 오버 리미트 스택을 쌓아놓고 가면
과부하를 더 빠르게 발동시킬 수 있습니다.
과부하가 발동되면 SP가 0이 되어버리기 때문에, 과부하 효과가 끝난 뒤 SP를 빠르게 채우기 위해 재장전을 활용합니다.
때문에 재장전은 아무때나 사용하기 보다는 버닝 캐논의 스택 상태를 잘 보고 과부하 이후에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겠죠.
피츄님의 기사를 첨부합니다. 함께 보면 좋습니다.
헤비거너의 스킬과 기본 딜 사이클에 대하여 알아보자 - (링크)
다음은 시프입니다.
메이플스토리2 내에서 높은 컨트롤을 요구하는 직업이기도 한데요. 기본적인 딜 사이클의 시작은
맹독 유리병 → 마인드 스틸러로 접근 → 섬머솔트킥&서든어택 → SP0까지 발칸 엣지
로 사이클을 시작하곤 합니다.
시작 시 맹독 유리병을 사용한 뒤 바로 서든어택으로 터뜨려주는 이유는
맹독 유리병의 지속시간과 섬머솔트킥&서든어택의 쿨타임이 10초로 동일하기 때문에
서든어택을 미리 사용해서 이후에 던질 맹독 유리병의 지속시간과 서든어택의 쿨타임이 차는 시간을
비슷하게 맞추기 위해서입니다. 맹독 유리병의 지속시간을 유지하는 이유는 약육강식의 효과 때문이죠.
이후엔 더블 스탭으로 SP 수급 후 맹독 유리병을 던지고, 발칸 엣지로 딜을 하다가
맹독 유리병의 지속시간이 끝날 때 쯤 섬솔&서든으로 터뜨려주는 것이 주 딜 사이클이 됩니다.
다만, 사이사이의 비열함 효과를 잘 써주는 것이 핵심인데요.
비열함이 떴을 시에는 보스 던전에선 보통 세 가지 선택이 있습니다.
1. 블레이드 댄스를 써서 적의 공격을 회피하며 보복을 띄운다.
2. 포이즌 블로우를 써서 독 대미지를 중첩시킨다.
3. 발칸 엣지를 써서 강화된 대미지를 넣는다.
보통은 블레이드 댄스로 회피해 보복을 띄우는 것에 비열함을 최우선으로 사용하고,
보복이 떠있을 시에는 포이즌 블로우를 써서 독 대미지를 중첩시키거나 발칸 엣지의 강화된 대미지를 넣는 식으로
활용합니다.
시프는 높은 딜을 뽑아내기 위해서 독 효과의 유지와 보복의 유지가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선 비열함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매우 중요하죠. 때문에 시프는 높은 컨트롤을 요구하지만
숙련된다면 매우 높은 딜링을 뽑아낼 수 있는 직업입니다.
피츄님의 기사를 첨부합니다. 함께 보면 좋습니다.
시프의 스킬과 기본 딜 사이클에 대하여 알아보자 - (링크)
어쌔신은 표창 2개로 딜을 하는 원거리 딜러입니다.
기본적인 딜 사이클은 SP수급기(럭키 세븐) → 부메랑 스타입니다.
다만, 수급기로 SP를 100까지 채운 뒤 부메랑 스타를 사용하는 방식이 아니라
럭키세븐과 부메랑 스타를 번갈아 사용하는 일명 럭부가 어쌔신의 기본 딜 방식입니다.
던전에 입장하고나선 보통
분신:다크 블레이더 → 페이탈 어택 → 스타 버스트 → 그라인드 스타 → 럭부 → 럭부...의 방식으로 사이클을 시작합니다.
다크 블레이더를 먼저 쓰는 이유는 암살자의 낙인 효과에 페이탈 어택 효과를 중첩시키기 위해서입니다.
낙인 효과가 길어질 수록 딜량이 올라가기 때문에
분신:**드 스플릿은 분신:다크 블레이더의 낙인 효과가 끝난 뒤에 사용하는 것이 좋겠죠.
이후에는 럭부를 지속적으로 사용하면서 스타버스트, 그라인드 스타를 쿨타임이 찰 때마다 사이사이 써주고
낙인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 다크 블레이더와 **드 스플릿도 사용하는 방식이 주된 딜링 사이클입니다.
만화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크리티컬로 공격이 들어가면 SP를 5 회복(MAX 기준)해주는 0.5초 쿨타임의 패시브 스킬 냉정한 마음도
유용합니다.
모든 직업에 숙련된 유저가 아니기에 틀린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틀렸거나 빠진 부분이 있다면 덧글로 적어주세요.
3주간 모든 직업의 딜 사이클을 간단하게 적어봤는데요.
적어보면서 아쉬운 점이라면, 각 직업의 특성을 파악하고, 딜 사이클을 외워서 활용하더라도
파티나 사냥에서 높은 딜을 뽑아낼 수 있는 것에 가장 직결된 것은 역시나 무기 강화라는 점입니다.
강화 관련 문제점은 이미 많은 분들이 인지하고 계시기에 적진 않겠지만... 역시 긍정적으로 받아들일 순 없는 부분입니다.
그간 모자란 기사글 봐주신 유저분들께 정말로 감사드립니다.